기획특집

[기획] ‘무장애 관광도시’로 도약하는 부산광역시
작성일:
2021-04-28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164

‘무장애 관광도시’로 도약하는 부산광역시

공공디자인 소식지 제 6호 (2021.5)


 

부산 무장애 관광도시 조성, 한걸음 앞으로 다가왔다.

 

부산이 누구나 불편함 없이 이동할 수 있는 도시로 변화하고 있다. 무장애(Barrier-Free)환경 정책의 일환이다. 어린이,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구분 없이 누구나 시설물이나 건물을 이용함에 있어서 어떠한 물리적인 장벽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하는 디자인이 접목되는 것이다. 서울연구원은 2019년 3월 18일 발표한 <세계도시동향>에서 무장애환경은 총 인구의 10%에는 필수적이고 40%에는 도움이 되는 사업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이용이 편리한 환경을 만드는 것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시·도별 무장애인증시설 현황(2021년 3월 기준) <부산, 무장에(Barrier-Free) 도시로 전환 시급> -구분:예비인증, 합계:5,563, 부산:198, 서울:577, 인천:344, 대구:197, 울산:157, 세종:118, 대전:99, 광주:117, 제주:234, 강원:349, 경기:950, 경남:389, 경북:473, 전남:527, 전북:303, 충남:325, 충북:206 -구분:본인증, 합계:3,042, 부산:98, 서울:232, 인천:181, 대구:126, 울산:88, 세종:57, 대전:61, 광주:58, 제주:142, 강원:221, 경기:516, 경남:244, 경북:295, 전남:277, 전북:135, 충남:187, 충북:124 -구분:합계, 합계:8,605, 부산:296, 서울:809, 인천:525, 대구:323, 울산:245, 세종:175, 대전:160, 광주:175, 제주:376, 강원:570, 경기:1,466, 경남:633, 경북:768, 전남:804, 전북:438 충남:512, 충북:330

출처: BDI 정책포커스 제394호, <부산, 무장에(Barrier-Free) 도시로 전환 시급>, 2021.04.19, 윤지영, p. 5

 

무장애 인증제도에 대한 필요성이 부산에서 적극적으로 제기된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마당에서 부산의 무장애인증시설은 전국 최하위권이며, 특히 공동주택인증은 1건도 없다는 뼈아픈 지적이 있었다. 2016년 당시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발표한 ‘7대 광역시 BF 인증현황’을 보면 서울시는 예비인증 91건, 본인증 25건인데 반해 부산시는 예비인증 12건, 본인증 6건에 불과했다. 부산시는 2011년부터 BF인증을 교부받기 시작했는데 타 도시에 비해 비교적 후발주자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부끄러운 성과다. 인증 건수는 2021년 3월 같은 기관이 발표한 ‘시·도별 무장애인증시설 현황’에서 예비인증 198건, 본인증 98건으로 훌쩍 뛰어올라 17개 시·도 중에서 13위를 기록했으나 도시 규모와 인구를 고려하면 여전히 최하위권이라는 지적이다. 2015년부터 국가나 지자체가 신축하는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이라면 모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을 받아야 하지만, 2019년 4월, ‘서부산권 장애인 스포츠센터’가 장애인을 위한 비상대피로가 없는 상태로 개관하면서 언론에서 비상 시 휠체어를 타고 계단으로 대피해야 하는 실태를 꼬집기도 했다.

 

서부산권 장애인 스포츠센터

서부산권 장애인 스포츠센터ㅣ출처: https://www.sbsd.kr/Home/12

 

부산은 규모와 인프라 면에서 국내 제2의 도시이자 글로벌 시티이면서 국제 관광도시를 지향한다. 게다가 부산국제영화제, 부산비엔날레, 부산국제수산엑스포, 국제해양플랜트 전시회 등 굵직한 문화산업예술계 행사가 다양하게 열리면서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는 도시이기도 하다. 다가올 2030년 부산월드엑스포를 유치할 경우 5천만 명 이상이 부산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관광을 포함해서 교통·보행 약자를 배려하는 도시환경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에 부산시는 도시 전역에 교통약자를 위한 무장애 교통환경을 조성하고 포용성 있는 도시 구현을 위해 2년간 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대대적인 계획에는 교통약자 맞춤형 길안내를 돕는 ‘BF 내비게이션’, 차량 이용 거점인 ‘BF 스테이션’,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지역 간의 교통수단을 지원하기 위한 ‘승차공유플랫폼’, 안전보행 환경을 조성하는 ‘세이프티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무장애시설을 알리는 관광 포스터(좌), 무장애 통합 놀이터(우)

출처: BDI 정책포커스 제394호, <부산, 무장에(Barrier-Free) 도시로 전환 시급>, 2021.04.19, 윤지영, p. 7

 

부산연구원이 2021년 발행한 ‘BDI 정책포커스’는 무장애 도시 국내외 사례를 다양하게 제시한다. 독일 함부르크 시는 일반 놀이터의 턱을 제거해 휠체어나 유모차 등 바퀴가 달린 이동 기구의 접근성을 높였고, 일본 후쿠오카 시는 ‘후쿠오카 100’을 수립해 지역민들에게 유니버설 매너를 교육시키는가 하면, 대중교통 무장애화를 시행하는 중이다. 일본은 또한 2009년부터 ‘배리어 프리 신법’을 제정해 공공 교통기관, 역 등 여객시설을 중심으로 무장애환경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부산, 무장에(Barrier-Free) 도시로 전환 시급 (As-is -> To-Be) As-Is • 고령인구 증가와 후천적 장애 발생 수 증가 추세 • 부산 인증시설 전국 최하위권 • 인증을 받은 부산 건축물 최하위 수준 • 부산 공동주택 인증사례 0건 • 오는 9월 부산 초고령사회 진입 To-Be ✔ 시민인식 대전환을 위한 교육 및 캠페인 추진 ✔ 부산시 무장애환경 제도 적극 도입 ✔ 부산형 무장애환경 서비스' 개발 ✔ 부산시 건축심의 시 무장애 인증 의무사항으로 개정 ✔ 부산 전역에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 적용

출처: BDI 정책포커스 제394호, <부산, 무장에(Barrier-Free) 도시로 전환 시급>, 2021.04.19, 윤지영, p. 1

 

부산의 무장애환경 정책 추진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로 시민인식 대전환에서는 모두를 배려하는 시민 매너 교육을 초중고 필수 교육과정 및 체험학습 등으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민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는 취지다. 두 번째로 무장애환경 설계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베리어 프리를 넘어서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공공적 이념 아래 7가지 원칙인 공평한 사용, 사용의 유연성,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 지각 가능한 정보, 오류 허용, 적은 물리적 노력, 접근 및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 등을 고려해 적용해야 한다. 또한 건축위원회 운영세칙에 편의시설 설계 및 사용 전 검사 강화를 통해 장애물 없는 환경설계를 건축심의 단계에서 권고가 아닌 의무사항으로 개정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부산형 무장애환경 서비스 개발이 제안되었다. 구릉지가 많고 도로 폭이 좁아 보행환경이 전반적으로 나쁘다는 평가를 받는 부산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Busan-Design for All-Public Space(공공 공간의 부산형 무장애환경)’ 설계 매뉴얼 개발이 시급하다. IT 기술을 통해 장애인 접근 정보·안심 생활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등 접근 정보 앱 지도 개발도 정책 과제로 삼고 있다. 이 앱을 통해 접근성에 대한 필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여가와 관광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도시로 도약할 계획이다. 앞으로 관광 약자들의 여행 향유권이 배려 차원이 아닌 국민이 누려야할 권리라는 인식이 차츰 우리 사회 속에 자리잡히고 있기에 무장애 도시로 한 걸음씩 향하는 부산의 행보가 더욱 돋보인다.

 

글: 디자인프레스

(본지에 실린 글의 내용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