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안내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공간 구축
사업 개요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유형별, 지역별 안전 예측 모델을 발굴하고 이에 따른 지역 디자인을 구축하여 확산하는 사업으로 관련 매뉴얼을 개발하고 지자체와 협력해 시범공간을 조성합니다.
사업 목적
- 공공디자인진흥법 시행 및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 계획을 실행해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문제를 발굴, 개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
- 공공디자인을 적용해 해결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국민의 안전과 편의 증진
-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공공디자인 사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지자체 협력 구조의 공공디자인의 장기적 발전 토대 마련
지원(참가) 대상
- 어린이 교통안전 및 고령자 인지건강 관련 사업을 희망하는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와 사업 수행 단체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
사업 내용
※ 생활 안전과 편의 과제 수행을 위해 해마다 현장 수요 조사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세부 과제 발굴
- 사업 유형
- (생활 안전) 교통안전, 범죄 예방, 재난 대비 안전 디자인 등 일상생활 속에서 생활 안전을 높일 수 있는 매뉴얼 개발 및 시범 조성
- (생활 편의) 일상생활공간, 문화예술공간, 관광지 등을 대상으로 편의 증진 디자인 매뉴얼 개발 및 시범 조성
사업 문의
- 공공디자인사업팀 02-398-7971
사업 성과
사업 년도 | 사업 유형 | 대상지 | 주소 | 사업 내용 | |
---|---|---|---|---|---|
2020 | 어린이 통학공간 디자인 |
주·상 밀집지역 통학공간 개발형 | 광주광역시 남구 | 광주광역시 남구 고싸움로152번길 1 광주 대촌중앙초등학교 일대 |
|
경기도 안산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 846 화랑초등학교 일대 |
|
|||
원거리 통학공간 개발형 | 세종시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 584-9 전동초등학교 일대 |
|
||
고령자 인지건강 디자인 |
고령자 문화공간 개발형 | 경기도 군포시 | 경기도 군포시 늘푸른노인복지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