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제목
도시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발행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사업명
파일유형
문서
사업기간
 ~ 
공공누리유형
발행연도
2022
상세내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에서 2022년에 발간한 '도시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신윤선, 안진근, 김주연)'
주제분류
보고서 및 자료, 정책 및 행정, 법규 및 제도, 교통시설, 문화복지시설, 공공청사, 통계
기관·지역분류
학회, 협회 / 서울
키워드
서울시, 공공디자인, 복합문화공간, 공공공간, 도시재생
링크
https://www.kisd.or.kr/sub/paper_search_list.php?nonmoon_idx=86&cate_idx=99
관련자료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공공디자인이 적용되는 대상 시설의 확대에 대한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이의 운용관리 방향을 탐색하는 시론적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학교 주변 공사현장에서 공공디자인이 적용되어야 하는 대상을 확인하고, 공공디자인 적용 방향을 제안하여 향후 지자체 및 시도교육청에서 적용하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함과 동시에 공공디자인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실천적 계획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4

본 연구는 반려견 놀이터와 공공디자인 요소를 결합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서울시 공립 반려견 놀이터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적합성을 알아보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새로운 반려견 놀이터 디자인을 제안하여 앞으로 구축되는 반려견 놀이터 디자인의 구체적인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4

본 연구는 유흥가와 인접한 다세대 주거 지역인 안양시 동안구 관양2동의 골목길을 사례·조사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범죄예방디자인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는지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골목길 및 유흥가라는 특징적인 공간의 정의에 대해 명확히 개념을 정립하고 해당 지역의 현황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골목길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해 시설물 디자인 측면과 경관 디자인 측면으로 분류하여 제시한 내용과 자연 감시를 적용한 개선 방향에 대해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 관련 공공공간 조성현황과 실제 조성사례 분석을 통해 반려동물과 연관되는 공간 정책 이슈를 발굴하고자 함. 예상되는 학술 및 정책적 기여는 ①반려동물 관련 정책추진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관련 여건변화를 고려한 ②공공공간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것에 있음.

건축공간연구원

2023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