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안내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사업 개요
공공디자인 실태조사는 공공디자인 정책 및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공공디자인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2년 주기로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조사입니다. 공공디자인 정책 수립과 실행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체계적 관리를 위한 핵심 지표를 마련합니다.
사업 목적 (추진배경 및 목적)
- 공공디자인 정책 및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규모, 동향, 실태조사를 통한 현황 파악
- 공공디자인 정기 실태조사 및 관련 후속 조사를 통해 체계적이고 수준 높은 정책 기초자료 확보
- ※ 추진근거: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공공 디자인법)』 제5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
지원 대상
- 공공디자인 정책을 추진하는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공공디자인 분야 연구자 등
사업 내용
- 조사주기: 격년(2년 주기)
- 조사대상: 공공디자인 발주 국가기관(공공기관 및 지자체 산하기관, 교육청 등), 전국 지자체, 공공디자인 전문회사 및 전문인력, 나라장터 공공디자인 발주사업 등
- 조사내용: 공공디자인 발주사업 현황, 공공디자인 전문회사 및 전문인력 실태조사, 지자체 관련 법인식 실태조사, 지역진흥 조례 및 제정 현황, 규모 및 실태 파악, 교육 기관 현황, 공공디자인 대가 기준 등
사업 문의
- 공공디자인기반팀 02-398-7973
사업 성과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관련 선행연구‧정기 조사
- 1. 제1차 공공디자인 실태조사(2016년)
- 2.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 수립연구(2018~2022) (2018년)
- 3. 제2차 공공디자인 실태조사(2019년)
- 4. 제3차 공공디자인 실태조사(2021년)
- 5. 2020 공공디자인 용역사업 규모파악 방법론 연구(2021년)
- 6. 2020~2021 공공디자인 용역사업 규모 실태조사(2022년)
- 7. 제4차 공공디자인 실태조사(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