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제목
공간과 심리의 관계 1인 가구의 스트레스와 주거 공간 회복탄력성의 상관성 연구
발행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사업명
파일유형
문서
사업기간
 ~ 
공공누리유형
제4유형
발행연도
2024
상세내용
본 연구는 한스 셀리에(Hans Selye)의 ‘일반 적응 증후군(GAS)’ 스트레스 반응 단계 이론을 바탕으로, 2단계 저항 단계에서의 공간 회복탄력성을 기반으로 스트레스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돌봄과 자기조절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1인 가구의 스트레스 감소와 정신 건강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스트레스와 주거 공간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요인을 추출하고, 효과적인 주거 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분류
보고서 및 자료
기관·지역분류
학회, 협회 / 서울
키워드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1인 가구, 주거 공간, 회귀분석
링크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56543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병원 공공 공간의 환경 디자인 요소가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중요성을 살펴보고, 그 후 병원 공공 공간에서 스트레스 완화와 관련된 주요 디자인 요소와 세부 고려 사항을 분류하고자 한다.

대한건축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에서 2024년에 발행한 '리질리언스 관점의 복합문화공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연구-문화적 창조계급 중심으로(진수현, 박현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시민이 생애주기별, 상황별 직면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디자인을 통해 관리, 개선함으로써 개인과 사회의 정신적 건강한 삶을 실현하는 스트레스 해소 디자인 사업 진행 및 결과 보도자료

서울특별시

2022

시민이 직접 제안하여 사회문제를 발굴하고다양한 주체들(시민, 전문가, 디자이너, 기업 등)이 참여하여 디자인으로 해결하는 디자인거버넌스사업의 보도자료

서울특별시

2022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