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제목
- 인천광역시 표준 디자인(6차)
- 발행처
- 인천광역시
- 사업명
- 파일유형
- 문서
- 사업기간
- ~
- 공공누리유형
- 제4유형
- 발행연도
- 2018
- 상세내용
- 범죄 예방, 안전, 재난과 재해, 기후 변화 등에 대처하고 이와 관련하여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표준 디자인 개발, 인천광역시 표준 디자인 1~5차 개발 완료에 따른 지속적인 디자인 개발 보급 요구에 대한 내용을 담음
- 주제분류
- 정책 및 행정
- 기관·지역분류
- 광역지자체 / 인천
- 키워드
- 인천, 표준 디자인
- 링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학교시설은 학생들의 참여, 소통의 장으로서 배움과 지식, 가치를 담을 수 있는 공간, 지식, 대화를 공유하는 공간, 배움의 동기를 부여하는 공간 등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앞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인천광역시만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미래지향적이자 특화된 미래형 학교 공간에 대한 기준의 정립 및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이에 시대의 다양한 변화 및 수요에 대응한 최적의 교육 혁신과 높은 수준의 교육환경을 갖춘 미래형 교육 인프라 구축, 창의적, 협력적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미래형 학습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시설기준 및 가이드 마련이 필요하다.
인천광역시교육청
2024
이 사업은 지방소멸시대에 유인섬의 소멸 위기 가속화와 지역 고유함의 중요성에 주목해 인천 내 168개 섬을 아우르는 통합 로컬디자인(노을가도)을 구축하고, 옹진군 덕적도 선착장 주변에 환경디자인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인천광역시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에서 2023년에 발행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계획, 현황 파악, 디자인, 실행, 유지·관리로 구성되어 학교 색채 컨설팅 진행 시 구체적인 전개 방향을 제시한 지침서
인천광역시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