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소식지

[제 50호 2025.1] 아이들이 행복한 아동친화도시 - 공공디자인 소식지
등록자:
문한아
등록일:
2025-01-08
조회수:
81
첨부파일 :
아이들이 행복한 아동친화도시(Child Friendly Cities)
‘아동친화도시’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따라 아동의 권리를 온전히 실현할 수 있는 지역 사회를 말하며, 아동이 행복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024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에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지역은 총 98곳, 그리고 30곳의 지역이 인증을 추진 중인데요. 저출생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속 가능한 사회의 핵심 과제로 떠오른 아동친화에 대해 알아봅니다.
‘놀이’와 ‘교육’에서 찾은 아동친화도시의 미래
프랑스 파리의 장난감 도서관 '에스파스 루도Espace LUDO'는 아동의 창의력과 사회성을 키우는 친환경 놀이 공간입니다. 지역 공동체의 참여, 아동의 놀이 교육, 돌봄 지원의 중심지로 자리 잡은 Espace LUDO의 운영 원칙과 프로그램에 대해 취재했습니다.
'아동친화도시'란? 
아동친화도시의 개념과 그 요건은 무엇일까요? 글로벌 아동친화도시 심의인증 지원 단체인 유니세프가 국내 지역들의 아동친화도시 추진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동의 놀 권리를 보장하는 지역 놀이터 
최근 행정안전부가 '2024 우수 어린이놀이시설'을 발표했습니다. 안전, 유지 관리와 운영, 아동 발달, 안심 디자인, 공동체 활성화 등에 우수한 평가를 받은 지역 놀이터 세 곳을 소개합니다.
우리 동네가 아동친화도시?
아동친화도시가 증가한 만큼 아동 권리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아직까지 일상에서 이를 체감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도시계획 단계부터 아동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도시의 기억을 간직한 아동친화공간
전주 덕진공원에 조성된 '맘껏숲&하우스'는 유니세프 아동친화공간 조성 사업의 결과입니다. 숲이 많은 지역 환경과 시민의 쉼터로 사랑받았던 장소성을 접목한 공간 디자인을 살펴보세요.
아동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전략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전략은 아동의 권리 실현을 목표로 데이터 기반 접근, 인식 제고, 법률·정책, 예산 할당 등 7가지 전략을 제안합니다. 아동의 놀이와 여가, 참여, 건강,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동 친화 환경을 조성한 해외 각국의 구체적 사례도 함께 살펴보세요.
아동이 직접 만드는 아동친화도시
스위스 루체른 바우빌 마을에서는 학교 시설 확장 시 아동들이 디자인 과정에 직접 참여하여, 나무로 만든 집, 그늘이 있는 정자, 목재 등반 구조물 등을 설계했습니다. 이러한 참여는 아동의 권리이자 책임으로 간주되며 마을 정책에도 아동의 의견을 반영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아동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형 놀이자원망 구축 방안 연구(2022)
자세히 보기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2021)
아동이 참여하는 지역개발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2023)

경기도 아동친화도시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2023)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서울 종로구 율곡로53 해영회관 5층 
 T. 02-398-7900 F. 02-398-7999 

본 메일은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에 의거 수신자의 동의를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본 메일은 발신 전용 메일로 회신할 경우 메일이 처리되지 않습니다.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하단의 수신거부를 눌러주세요. 
 
Copyright. KCDF all right reserved
수신거부


빠른 이동 메뉴